
집닥 에디터가 직접 경험해본 신혼 주택 인테리어 전 과정(견적- 상담 - 시공 – 마감)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
#신혼집 01 어디서 살지
누구나 하는 결혼, 그까짓 거 뭐 대충 …
3년 반 동안 긴 연애 기간 후 남은 인생을 지금 내 옆 여자친구와 함께 하기로 결심했다. 결혼을 결심하기 전까지는 주변 친구들 하나 둘씩 짝을 찾고 가정을 꾸리는 모습을 보기만 해왔던 터라, 대수롭지 않은 일로 여겼던 것이 사실이다. 그저 시간이 흐르면 누구나 겪는 대소사 중 하나의 이슈겠거니 싶었지. 하지만 본격적으로 결혼 준비를 시작하자 바로 그 느낌적인 그 느낌이 왔다.
한창 결혼을 준비 중에 남긴 한 컷. 집을 알아보기 위해 한동안 무던히 애태웠던 기억이 생생한 시절.
결혼 준비 과정에서 가장 처음 맞닥뜨린 문제, 어디서 살지? 우리의 형편과 상황에 맞는 집을 찾아다니다 보니, 서로의 직장이 있는 서울을 벗어나 수도권까지 시야를 넓히게 됐다. 온라인 상 몇 군데 사이트를 선정한 후 발품을 팔아 부동산에 상담을 요청하고, 부동산 관련 앱도 사용해 신혼집으로 마땅한 집을 찾아 나섰다. 20여개 집을 돌아 다니다 인천의 한 오래된 20평대 아파트를 덥석 말 그대로 ‘물었다!’. 직장과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위치, 쾌적한 느낌의 집 구조, 현실적인 매매가. 그동안 봤던 집 중에서 가장 만족스러웠다. 오래돼서 인테리어 리모델링과 보수가 필요하다는 것만 제외한다면.
수도권에 자리한 수많은 아파트들.
우리가 앞으로 살아갈 집으로 결정한 곳. 뭔가 섣불리 결정한 듯한 안 좋은 기분이 제발 현실이 되지 않길 바랐건만 부동산 계약 후 자세히 둘러보니 초기에 발견하지 못했던 문제점들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누수가 있었는지 썩어버린 마루, 녹이 쓴 보일러 분배기, 깨진 욕실 타일 등 지금 이 상태로 살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금방이라도 집이 누군가에게 매매될 것임을 반복적으로 언급하며 ‘서두른 사람이 임자’라던 부동산 사장님을 이제 와서 원망해 봤자 무엇하리. 더 면밀히 살펴 보지 않았던 우리 탓이 제일 크겠지.
#신혼집 02 어떻게 살지
리모델링이 꼭 필요했던 작은 신혼집
계약 후 실제 집을 꼼꼼히 살펴보니, 보수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전체 리모델링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직장 내에서도 평소 친분이 있었던 A/S팀 실장님을 집으로 모셔와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전체적으로 체크했다. 수리할 부분이 하나 둘씩 모이다 보니 그냥 보수만에서 끝날 일이 아니라 전체 리모델링을 진행하는게 낫겠다는 진단을 내려주셨다. 신혼집만 구하면 다 끝날 줄 알았는데 보수 공사로 인한 추가 지출이 생길 수 밖에 없는 상황. 인테리어는 뭐부터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그동안 인테리어 관련 콘텐츠를 제작하며 수많은 포트폴리오를 접했지만, 그저 남의 집 얘기라고 생각해왔던 터. 내 집을 어떻게 인테리어 할 지는 별로 생각 해본 적이 없었다.
그래도 마음 속으로 막연하게나마 그림 그려본 인테리어 콘셉트를 떠올리며, 우리의 라이프 패턴에 꼭 맞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동안 우린 서로 바빠 양쪽 집에 이것 저것 쌓아두기 바빴던 맥시멀 리스트였으니, 이번 기회를 계기로 함께 사는 인생의 서막은 비우는 삶, 미니멀 라이프의 삶을 구체화하기 시작했다.
신혼집에 담아낼 라이프스타일을 그리며 자연스럽게 마음 속으로 담아뒀던 인테리어 가이드를 다시 꺼내 보기 시작한다. (@3.trapporupp)
여러 인테리어 잡지와 검색을 통해 인테리어 콘셉트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시작했다.
‘Beyond your house and life’
< LIFE ON___ > by zipdoc
삶의 다양성을 공간에 열어두고
다음의 라이프스타일을 이야기합니다.
집닥이 만드는 더 나은 라이프스타일 방법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