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MW가 최근 국도교통부의 EGR(배기가스재순환장치) 화재 발생 사건 관련 최종 결과 발표에 대해 입장문을 내놨다. 입장문을 통해 BMW는 EGR 쿨러 누수가 화재 원인의 핵심이라며 다른 관련 부품 결함 의혹에 대해서는 전면 부인했다.
24일, 국토교통부는 서울 정부청사에서 열린 최종 결과 발표를 통해 민관합동조사단 조사결과 EGR쿨러에서 냉각수가 끓는 '보일링(Boiling)'을 확인하고 이러한 현상이 EGR의 설계결함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국토부는 결함 은폐 및 축소, 늑장 리콜의 책임을 물어 BMW에 대한 검찰 고발과 과징금 112억원 부과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글리콜이 축적된 EGR 쿨러 (오른쪽)
이에 관련해 BMW는 "본건 차량 화재의 근본 원인은 EGR 쿨러의 누수라는 점이 확인됐다"며 이러한 내용은 BMW 그룹의 기술적 조사 결과와도 대체로 일치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EGR 쿨러 누수 외 기타 결함 의혹에 대해서는 전면 부인했다. 흡기다기관 자체에는 설계 결함이 없으며 오로지 EGR 쿨러의 누수가 있는 경우에만 손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BMW는 EGR 쿨러 누수가 확인된 차에 대해서 흡기다기관까지 모두 교체해 주고 있다.
▲ 사과하는 김효준 BMW 코리아 회장 (오른쪽)
이와 함께 EGR 쿨러의 누수 없이 기타 정황 현상만으로 화재가 발생하지는 않으며 하드웨어 문제인만큼 EGR 쿨러 교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BMW는 이번 건으로 인해 고객 분들께서 겪었을 불안감과 불편에 대해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라며, "BMW 그룹은 화재의 근본 원인이 확인된 시점에 지체없이 리콜 조치를 개시했고, 고객의 안전을 어떤 것보다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기고 있으며 회사와 브랜드에 대한 고객들의 기대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고 밝혔다.
다음은 BMW가 게재한 '국토부 최종 결과 발표에 대한 BMW 입장' 전문이다.
BMW 그룹의 최우선 가치는 고객의 안전이며 최대한 빠른 시일 내 한국에서 리콜 조치를 완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BMW 그룹은 현재 진행중인 조사에 협조하고 있으며 본건을 해결하고 관련 의혹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국토교통부 조사결과, 극히 드물게 발생하는 본건 차량 화재의 근본 원인은 EGR 쿨러의 누수라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BMW 그룹의 기술적 조사 결과와도 대체로 일치합니다.
EGR 쿨러의 누수 없이 기타 정황 현상만으로는 차량 화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는 하드웨어 문제인바, 결함이 있는 EGR 쿨러 교체를 통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흡기다기관 자체에는 설계 결함이 없으며 오로지 EGR 쿨러의 누수가 있는 경우에만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는 EGR 쿨러 누수가 있는 경우에 흡기다기관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국토부의 의견과 같습니다. 현재 BMW 그룹은 이미 고객 서비스 차원에서 EGR 쿨러 누수가 확인된 차량에 대하여 흡기다기관 교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건으로 인해 고객 분들께서 겪었을 불안감과 불편에 대해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BMW 그룹은 화재의 근본 원인이 확인된 시점에 지체없이 리콜 조치를 개시하였습니다. 다시한번 고객 분들과 한국 국민에게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BMW는 고객의 안전을 어떤 것보다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기고 있으며회사와 브랜드에 대한 고객들의 기대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참고 자료 : 독립된 자동차 시험기관인 스위스의 DTC(Dynamic Test Center)도 EGR 쿨러의 누수가 본건 차량 화재의 근본 원인이라는 점을 확인한 바 있습니다. DTC는 자동차 안전 분야에서 선도적인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스위스 소재의 기관이며, 2018 년 9 월과 10 월에 진행된 DTC의 조사결과는 다양한 EGR 시스템과 엔진에 대한 검사를 기반으로이루어졌습니다.
이미지 : BMW, 카랩DB
박지훈 jihnpark@carla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