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 입는 옷을 정리하고, 그 후...
2019년 여름의 초입이 다가오면서,
옷장의 봄, 가을 옷을 정리할 때가 왔다.
잘 입지는 않지만 방 한켠을 묵직하게 차지하고 있는
몇몇 간절기 옷들을 보면,
마음이 답답해지면서 매 주기마다 하는 고민에 빠지게 된다.
‘옷들을 정리하고 싶은데, 버리기는 아깝고.
어떻게 하지?’
특히나 주거 공간이 좁거나 넉넉하지 않은
대학생, 직장인 여성의 고민이 클것이다.
고민의 중심에 서게 되는 또 한 명의 장본인으로서,
직접 경험해본 옷 셰어링 서비스 세가지를 솔직하게 소개한다.
--------------------------------------------------------------------------------------------------------------------------------------------------------
[클로젯셰어]
이름에서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브랜드 의류 및 가방을 셰어링 해서 수익을 낼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이다. 렌탈도 가능하다.
다만 지정된 브랜드 의류만 셰어링 할 수 있다는 점.
먼저 제품 사진과 브랜드명을 카톡으로 보낸 후,
허가가 나면 셰어링 봉투를 신청할 수 있다.
기준이 약간 까다롭고,
셰어링이 되어도 다른 사람이 그 의류를 렌탈해야
수익이 난다는 단점이 있다.
클로젯 셰어 : https://www.closetshare.com/
--------------------------------------------------------------------------------------------------------------------------------
[마켓인유 (Market In U)]
마찬가지로 옷을 사고 파는 것이 가능한 세컨핸드 샵.
시즌에 맞는 옷을 인터넷으로 매입 신청하여 보내면,
검수 후 통과된 옷에 한해 보상을 해준다.
기준에만 맞으면 다양한 옷을 보낼 수 있지만,
검수 기준이 꼼꼼하여 상태가 좋은 의류를 보내는 것이 좋다.
검수에 통과되지 않은 옷은 배송비를 내고 돌려받거나
기부할 수 있다. 보상 금액이 높은 편은 아니다.
마켓인유 : http://www.marketinu.com/member_retail/offline_store?tab2
--------------------------------------------------------------------------------------------------------------------------------
[H&M 헌옷수거 캠페인]
브랜드나 의류 상태에 상관없이,
개인이 준비한 쇼핑백에 안 입는 의류 및 천 소재 제품을
H&M 매장에 담아가면,
4만원 이상 구매시 5천원 할인이 가능한
H&M 쇼핑쿠폰을 제공하는 제도.
의류에 기준이 없으나,
H&M에서 소비를 또 해야 한다는 장점이자 단점이 있다.
상황에 맞게 안입는 옷들을 처리하고,
여름 옷차림처럼 가벼운 옷장을 마주하는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