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정작 사회복지사들에게 복지는 없다

등록일2017.04.28 17:29 조회수8254

"약하고 못나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죽음으로 내 진심을 보여주고 싶다."
- 사회복지사 고 안모씨 유서 중

 4년 전, 한 달의 간격으로 3명의 젊은 청년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바로 젊은 사회복지사라는 것. 살인적인 업무에 대한 부담. 2분마다 걸려오는 민원 전화와 퇴근 후 가정방문까지... 복지 수요는 점점 증가하나 그에 반해 인력은 언제나 제자리.





그리고...
"일이 많은 건 참을 수 있다. 하지만 최소한의 존중과 대우..."
-사회복지사 고 안모씨 유서 중

 살해 위협, 성폭력, 고용불안 등에 시달리는 사회복지사들... 자살을 선택한 사회복지사 강모씨가 입버릇처럼 하던 말, '이러다가 암에 걸릴 것 같다.' 





 하지만, 4년이 지난 후에도 변한게 없는 현실... 사회복지사의 폭력 피해 경험 20.46%, 욕설 경험 43.61%. 복지 예산 100조원 시대, 정작 사회복지사들에게 복지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웃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많은 사회복지사. 오늘도 우리 이웃을 위해 밤을 지새우고 있습니다.

 "우리 선생님이 내 유일한 가족이오.. 고마워요."
- 쪽방촌에 사시는 김모 할머니





  물론 이 문제를 당장 모두 바꿀 순 없습니다. 하지만 마냥 지켜만 볼 수 없기에 나선 곳이 있습니다. 피로에 지친 사회복지사를 위해 나선 CJ 제일제당 한뿌리. 피로에 지친 사회복지사들과 도움이 필요한 분들께 한국인의 기운 한뿌리를 선물하려 합니다. 여러분의 공유, 좋아요로 사회복지사들을 함께 응원해주세요.



쉐어앤케어 공유만 해도, 1000원을 후원합니다.
사회복지사들을 공유로 응원해주세요.

▽▽▽ CLICK ▽▽▽


# 현재 인기 토픽

플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