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맥주는 어디에서 만들어지는 걸까? _ 4탄

등록일2017.06.13 13:47 조회수6803


그야말로 맥주한 날씨와 맥주한 날들의 연속이다. 낮엔 조금 덥다 싶을만큼 햇빛이 쨍하지만 저녁에는 선선한 한강 바람 속에서  맥주를 마시기 참 좋은 계절이다. 이전의 맥주 포스트 시리즈에서는 맥주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수제맥주란 대체 무엇인지, 우리나라의 크래프트 맥주와 맥주를 맛있게 마시는 법을 소개했다.


그럼 이제 맥주를 어떻게 만드는지도 알았고, 어디가 유명한지도 알았으니, 맥주가 어디에서 만들어지는지 궁금할 차례! 대량생산되는 맥주들은 맥주공장이 따로 있을까?그렇다. 그렇다면 수제맥주는 어디서 생산될까? 보통 수제맥주를 만드는 곳을 '브루어리(BREWERY)'라고 부른다. 


이번에 식신 에디터는 직접 충북 음성에 위치한 '코리아 크래프트 브루어리'를 다녀왔다. 이곳은 앜 소리나게 맛있는 맥주! '아크(ARK)' 맥주를 생산하는 곳이자 국내 최초로 브루어리 투어를 시작한 곳이다. 마치 하나의 예술품 같았던 아크 브루어리를 소개한다. 





충북 음성에 위치한 '코리아 크래프트 브루어리(KOREA CRAFT BREWERY)'. 국내에서는 부엉이 맥주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히타치노 네스트의 노하우를 전수받아 한국의 수제맥주를 생산하는 곳이다. 총 1,800여평의 대지에 공장동과 창고동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맥주 생산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행사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브루어리 콘서트와 할로윈 파티, 크리스마스 파티 등 시즌별 비정기적인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되고 있다. 





공장동은 실제 브루잉, 숙성 및 이스트 발효실과 실험실을 갖춘 브루하우스 공간과 바와 라운지를 갖춘 탭룸, 사무실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우리가 마시고 싶지 않은 맥주는 만들지 않아!"

공장 로비에 들어서면 마주할 수 있는 문구. 이는 코리아 크래프트 브루어리의 맥주에 대한 책임감과 의지를 잘 전해준다. 





코리아 크래프트 브루어리의 맥주와 직접 만든 안주들을 맛볼 수 있는 탭룸. 바로 옆에 위치한 공장에서 만들어내는 맥주를 가장 신선하게 즐길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매주 토요일 오후 1시와 3시. 두 차례 진행되는 투어 프로그램은 크게 ‘클래식 투어(Classic Tour)’와 ‘마스터 투어(Master Tour)’로 나뉘는데, 클래식 투어는 크래프트 비어의 세계에 막 입문한 고객들을 위한 투어로 맥주가 무엇으로,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체험할 수 있는 30분~40분간의 브루하우스 투어와 탱크에서 갓 뽑은 생맥주 한 잔이 제공된다. 또한 투어 참가자에게 ARK 전용 글라스를 기념품으로 제공고 있어 아크 맥주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마스터 투어는 좀 더 심도 있게 맥주의 세계를 알고 싶은 고객들을 위한 투어로 브루마스터 마크 헤이먼(Mark Hamon)에게 맥주가 만들어지는 공정에 대해 1시간 동안 직접 설명을 들을 수 있는 것이 차별점이다. 마스터 투어 역시 탱크에서 갓 뽑은 생맥주 한 잔을 포함하고 있으며, 투어 참가자에게 아크 전용 글라스를 기념품으로 제공하고 있다. 마스터 투어는 브루마스터의 브루잉 일정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사전 일정 확인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러니 방문 전 꼭 꼼꼼히 확인하기를!




코리아 크래프트 브루어리의 맥주공정도 요약



맥주 포스트 1탄에서 맥주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 한번 다룬 적이 있었는데, 코리아 크래프트 브루어리의 맥주공정도를 보며 한번 더 정리해보자. 맥주의 주 원료는 바로 '물, 맥아, 홉' 이 세가지로 ‘맥아’는 보리의 싹을 틔운 것을 뜻하며, 영어로는 몰트라고 불린다.



이 맥아는 식혜를 만들때도 흔히 사용되는 재료인데, 보통 보리 맥아를 주로 사용한다. 밀맥주에는 밀맥아를 조금 섞어 만든다고. 이 맥아는 볶는 시간에 따라 다른 맛을 내는데, 짧은 시간 동안 볶으면 연한 색의 맥주가! 오랜 시간 볶으면 검은 빛깔의 흑맥주가 만들어지게 된다. 

 


'홉’은 맥주의 쓴맛을 결정하는 재료다. 그래서 많이 넣으면 그만큼 쓴 맛이 강해지지만, 맥주에서 자라는 특정한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유통기한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보관기술이 뛰어나지 않았던 시절에는 영국에서 인도까지 맥주를 운반할 때 변질을 막기 위한 장치로 다량의 홉을 넣어 맥주를 만들었다.그때 탄생한 맥주가 바로 인디아 페일 에일(줄여서 IPA라고 불리우는)이다.


 

그럼 이 맥아와 홉이 만나 과연 어떻게 맥주가 되는지 공정을 한번 살펴보자!





겉보리의 싹을 틔운 맥아와 홉, 향신료





곡물은 효소의 작용이 용이하도록 분쇄한다.





따뜻한 물로 우리고, 맥즙을 추출하고 끓이는 과정을 거쳐서 





효모를 넣어 발효하는 과정까지 마치면,





라벨링 등의 포장 공정 후 드디어 출하! 





이렇게 생산된 맥주는 아크 만의 예쁜 스티커를 붙여 전국에 유통된다.





어떤가요? 내가 마시는 맥주가 어디에서 오는지 이제 조금 감이 잡히나요? 이번에 다녀온 코리아 크래프트 브루어리 투어의 매력은 무엇보다도 바로 생산된 맥주를 그 자리에서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아닐까 싶은데요, 



다음에 발행 될 5탄에서는 맥주를 만드는 사람! 브루어의 인터뷰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평소 궁금한게 많았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다음 이 시간까지 행복한 맥주의 나날을 보내세요!



이 포스트는 국민 맛집 어플리케이션 식신 X 앜 소리나게 맛있는 맥주 코리아 크래프트 브류어리가 함께합니다.






지금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세요. 
투표해서 당첨되면 5만원 상당의 경품까지!





맥주 덕후가 쓴 
맥주알못을 위한 지침서!









식신의 실시간 #먹스타그램 이 궁금하다면? 식신의 SNS를 팔로팔로미!
'식신' 공식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iksinhot/
'식신' 공식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iksinhot/




플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