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쨍쨍. 요 며칠 습한 날씨가 계속 되더니 이제는 햇빛이 너무 뜨거워 나무 밑 그늘을 찾아 다니다 이내 등줄기로 흘러내리는 땀방울에 한숨이 절로 나옵니다. 길 전체에 나무가 우거져 그늘만 있었으면 좋겠다가 어느날은 길에 에어컨 구역이라도 있었으면 하는 생각을 다 하고는 합니다. 눈이 마주치는 사람들마다 와 정말 너무 덥다라며 고개를 절레절레 젓는 요즘. 아직은 8월 초입니다. 역시 집 밖은 위험해! 정말 정말 위험합니다.
그럼에도 여름은 봄에 씨를 뿌린 과일들과 작물들이 무럭무럭 자라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뜨거운 햇빛에 아마 벼들도 고개를 점점 숙이며 자라고 있을테지요. 이번에 소개하는 8월의 제철재료 역시 봄부터 튼튼히 자라 영양분을 저장해 놓은 작물입니다. 아마 듣자마자 아아~ 하면서 반가워 하실 분들이 많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물론 저도 포함됩니다.
참 감자만한 것도 없습니다. 밀, 보리, 옥수수와 더불어 세계의 4대 작물로 불리는 감자. 포실포실 하면서도 부드럽고, 든든하게 배를 채워주는 효자작물. 전쟁으로 폐허가 되어 먹을 것이 없었던 시기에도 서민들의 곁에 늘 함께 해주던 작물입니다. 삶고 굽고, 볶고, 튀기고 어떻게 조리해도 맛있는 감자. 에디터 개인적으로도 오래오래 함께 해줬으면 하는 제철재료입니다.
김동인의 '감자' 표지
대한민국에서 수능을 본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법한 김동인 작가의 ‘감자’. 이 작품에서 감자는 생계유지의 수단으로 등장합니다. 먹고 살기 위해 고군분투 하던 ‘복녀’가 ‘왕서방’의 밭에서 몰래 감자를 캐다 걸려서 첩 노릇을 하게 되고, 그 돈으로 남편과 생계를 이어나 갈 수 있다며 좋아합니다. 김유정 작가의 ‘동백꽃’에서는 점순이가 애정의 표시로 ‘느이집엔 이런 거 없지?’ 하며 감자를 건네기도 합니다.
색깔도 모양도 다양한 감자들
돼지감자
건강한 감자를 구입하려면 감자의 표면에 흠집이 적으면서 매끄러운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무거우면서 단단한 것이 오래 보관하기에도 좋습니다. 싹이 나거나 녹색 빛깔이 도는 감자는 오래된 감자일 가능성이 높으니 피하는 것이 합니다.
감자는 공기에 닿으면 갈변되기 때문에 요리 직전에 깎아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껍질을 깐 감자는 찬물에 담궈 물기를 뺀 후에 물기를 제거하고 비닐봉지나 랩에 싸서 냉장보관 해야 합니다. 감자는 수확하고 3개월까지는 휴면기간으로 싹이 나지 않지만, 그 이후에는 싹이 나면 독소인 솔라닌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싹을 칼로 도려내고 사용해야 합니다. 싹을 도려내면 먹을 수는 있지만 영양분이 손실되기 때문에 유통기한내에 먹는 것이 좋습니다.
감자는 흙이 묻어 있는 그대로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일주일 정도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은데, 감자와 사과 한 두알을 함께 보관하면 에틸렌이라는 성분 때문에 싹이 나는 것을 늦출 수 있다고 합니다.
내가 제일 잘 알감자!
바삭한 감자튀김과 즐기기 좋은 '수제맥주 펍' best 5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