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디젤 엔진오일이 검은 이유

등록일2017.12.15 16:47 조회수50665

엔진오일의 상태를 확인할 때 오일게이지를 보고 F와 L 사이에 오일이 묻어나오는지, 오일의 색깔이나 점도를 보고 엔진오일의 상태를 확인하죠. 엔진오일의 색깔이 갈색이나 짙은 갈색일 경우 아직 양호한 상태이며, 검은색이나 이물질이 보일 경우 교체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가솔린 차량은 이렇게 오일게이지에 찍힌 엔진오일의 색으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지만 디젤 차량의 경우 색으로 엔진오일의 상태를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디젤 차량의 오너드라이버분들이라면 잘 아시겠지만, 황금빛의 새 엔진오일을 주입 후 5분만 주행해도 금세 검갈색으로 변한 엔진오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솔린 차량의 경우, 주행거리에 따라 점점 엔진오일의 색깔이 변해 색으로 오일상태를 판단할 수 있지만, 디젤 차량은 색으로 상태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서 가장 문제 되는 것은 입자상 물질 'PM'입니다. 이 물질이 검은 매연을 유발하는데요. 디젤차는 검은 매연, 즉 그을음이 엔진오일에 섞여 금방 검은색으로 변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디젤 차량은 엔진오일의 색보다는 점도나 주행거리 등으로 체크하여 확인해야 합니다.







디젤 차량에는 환경 규제에 맞춰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인 DPF가 장착되어있습니다. 매연저감장치인데요. 이렇게 DPF가 장착된 차량에는 전용 엔진오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엔진오일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불순물이 DPF를 막아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에 디젤 전용 엔진오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불순물이긴 하지만 엔진오일에 없어서는 안 될 성분 인, 황, 황산화분이 그 성분들인데요. DPF 전용 오일이란 바로 이 성분들이 적게 들어간 엔진오일을 말합니다.


 





DPF장착 차량은 ACEA C 등급의 엔진오일을 사용하며,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엔진오일 규격은 C2와 C3입니다. 디젤 엔진오일의 검은 이유, 궁금증이 풀리셨나요? 차량 필수 정비항목인 엔진오일! 자신의 차량 규격에 맞는 엔진오일로 교환주기를 놓치지 않고 제때 교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현재 인기 토픽

플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