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내 차를 움직이는 힘, 배터리

등록일2017.02.22 14:33 조회수11661

1. 배터리는 무엇인가?

배터리는 자동차의 시동을 걸 때 필요한 전원의 역할을 하며 이그니션을 시작하는 여러가지 제어시스템의 전원으로 엔진에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품입니다.

배터리는 자동차의 시동 뿐 아니라 안전한 주행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기적으로 교환하는 것은 물론, 자주 점검을 해주어야 하는 필수 정비사항입니다.



● 배 터 리 [Battery]

축전지 또는 2차전지라고도 하는 자동차 배터리는, 자동차가 정지되면 배터리 내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시동모터를 구동하고 발전기 고장 시 예비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는 납 축전지, 알칼리 축전지, MF 축전지로 구분된다.

①납 축전지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축전지이다.

②알칼리 축전지 : 전해액으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는 축전지로, 주로 선박에 사용되며 가격이 비싸고 수명이 길다.

③MF 축전지 : 극판이 납 칼슘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스 발생이 적고 전해액 보충이 필요 없으며 자기 방전이 적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자동차 용어사전’ -




소모품인 자동차 배터리는 사용기간이 흐를수록 성능이 저하되지 때문에, 

기적으로 배터리 전압 체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알면 도움되는 배터리 체크 포인트



2. 배터리 제조일자 확인하는 방법

자동차 배터리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사용기간만큼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됩니다.

또한 출시일이 최근일수록 배터리의 성능이 좋기 때문에 배터리의 제조일자를 판독하는 것이 최신배터리를 교환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배터리는 제조사별로 제조일자 기입방법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자신의 차량에 장착할 배터리의 제조사에 맞는 제조일자 확인하는 방법을 익혀두면 좋습니다.


배터리는 자동차의 전원을 공급하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최근에 제조한 배터리를 장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성비가 훌륭한 델코배터리



3. 내 차에는 어떤 배터리를 사용해야 할까요?

일반적으로 자동차 배터리의 성능은 동일하기 때문에 자신의 차량 형명모델사양에 맞는 배터리를 장착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차량 모델별로 배터리 용량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자신의 차량에 맞는 배터리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차량 배터리 장착공간의 상태에 따라 DIN타입의 배터리를 장착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DIN타입 배터리는배터리 연결 단자가 함몰되어 있으며 성능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자동차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전압용량에 맞게 선택하면 되지만,

장착공간에 따라 DIN타입으로 나뉘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신차량은 auto STOP옵션이 장착되어 있어 배터리사용량이 

훨씬 높기 때문에 성능이 우수한 AGM배터리를 장착해야 합니다.

▶ 내 차에 맞는 배터리 알아보기



4. 성능유지를 위한 배터리 관리방법

● 배터리 방전을 유도하는 차량관리 습관

①    실내등, 외부 등을 끄지 않은 경우

②    블랙박스를 상시전원으로 연결한 경우

③    사제 오디오 장치 장착 등으로 배터리 사용이 많은 경우

④    배터리 연결단자 주변의 청결상태가 불량한 경우

 

 배터리의 방전을 의심할 수 있는 상황

①    시동을 켰을 때 힘이 약해 소리가 다른 경우

②    엑셀을 밟는 정도에 따라 전조등의 밝기가 변하는 경우

③    경적소리가 작아진 경우

④    배터리 충전을 했을 때 인디케이터(배터리 계기판)의 색깔이 변하지 않은 경우


정기적으로 배터리의 전압체크는 배터리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좋은 차량관리 습관입니다.




배터리는 시동의 On,Off에 따라 정격 전압이 다릅니다.



배터리 관리방법

①  차량 내부 전기장치의 전원 체크

각종 전기장치가 많은 요즘에는 차량내부에서 전기의 사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쉽게 방전될 수 있습니다. 시동이 꺼졌을 때에는 차량의 내,외부 조명 및 전기장치의 전원을 꺼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②  배터리 배선 및 주변 청결상태 유지

주기적으로 배터리 연결배선의 이상유무를 체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엔진룸에 빗물이 들어가거나 연결단자 주변이 지저분할 경우 접촉불량으로 인한 누전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의 배선과 연결단자 부분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③  일주일에 한번씩은 시동을 켜자

차량이 장기간 방치될 경우에도 배터리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최소한 7일에 한번씩은 시동을 켜서 배터리의 전압을 높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④  1시간마다 에어컨을 끄자

에어컨을 세게 틀면 전력 소모에 과부하가 걸려 배터리의 온도가 상승되어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배터리의 전력 소모가 심하지 않도록 일정 시간마다 에어컨을 꺼주는 것이 좋습니다.


⑤  시동을 끈 상태에서 장시간 전력 사용 금지

자동차 배터리는 산업용 배터리와 달라 시동이 꺼진 상태(=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사용을 하게 되면 수명이 단축 될 수 있습니다.

시동을 끄면 전력사용시간을 줄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5. 교환주기, 배터리는 왜 갈아야 하나?



배터리는 상태 및 잔량에 따라 성능에 차이가 발생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지나면 반드시 교환해 주어야 합니다.

배터리는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교체를 하는 것이 좋지만, 배터리의 성능유지를 위해 3년이 지나면 겨울이 오기 전에 교체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 외에도 아래의 상태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해도 지속적으로 방전될 경우

- 전조등의 밝기가 평소보다 어두워질 경우

- 배터리 충전(점프) 후에도 인디케이터가 녹색으로 변하지 않는 경우

- 엑셀을 밟는 정도에 따라 전조등의 밝기가 변할 경우




소중한 내 차 관리, 이제 불편함도 불신도 사라집니다.

▶ 카수리 앱으로 편리한 내 차 관리 시작해 보세요!


# 현재 인기 토픽

플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