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 전기차만 있나? 수소차도 있다"…보급 확대
(세종=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 친환경차의 하나인 수소연료 전지차의 보급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환경부는 9일 창원시 팔용동 충전소에서 수소차 충전소 준공식을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창원에서 수소차 충전소가 처음으로 생기는 것이다.
환경부는 2013년부터 수소차·수소충전소 보급사업을 추진했다. 올해까지 전국에 수소차 310대를 보급하고, 수소차 충전소 16곳을 확충할 계획이다.

수소차는 지난해까지 121대 운행되고 있으며, 수소차 충전소 6곳이 설립된 바 있다.
국내에서 수소충전소가 처음으로 만들어진 지역은 2014년 광주광역시 진곡이다.
충남·울산·전남에서는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부생수소를 활용하기 위해 충전소가 만들어졌다. 부생수소는 공정과정에서 남는 수소를 말한다.
광주광역시와 울산광역시에서 수소차 생산기지, 창원에서 수소충전소 제작사와 부품기업 등 집적지로서의 특징을 살려 충전소를 설립했다.

환경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작년 12월 울산시에서 수소택시를 출범시킨 데 이어 이달에는 광주광역시에서 수소차 카셰어링(공유) 발대식을 열었다.
카셰어링은 렌터카보다 짧은 시간인 1시간 단위로 차량을 빌려 쓰는 시스템이다. 인터넷·스마트폰을 이용한 예약·결재로 무인 차량보관소에서 차를 쓰고 반납하면 된다.
환경부는 2020년까지 수소차 1만대를 보급하고, 수소충전소 100곳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국토교통부와 함께 민간투자를 유치, 수소차·전기차 충전소를 보유한 복합휴게소 200곳을 2025년까지 조성할 방침이다.
이정섭 환경부 차관은 "수소차 보급 정책은 아직 걸음마 단계이지만 공급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chunj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7/03/08 12:00 송고
광주 수소·전기차 이용한 '카셰어링' 시작
(광주=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 광주시가 수소차·전기차 카 셰어링(carsharing·자동차 공유) 발대식을 하는 등 친환경 자동차 선도도시 사업을 본격화한다.
![수소차.전기차 동시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연합뉴스 자료사진]](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03/AKR20170303129500054_01_i.jpg)
광주시는 오는 6일 시청 야외 문화광장에서 '수소 및 전기차 융·복합 카셰어링' 발대식을 하고 시범운행에 들어간다.
발대식에는 조경규 환경부 장관, 윤장현 광주시장, 이은방 광주시의회 의장, 조봉환 창조경제추진단장, 박광식 현대자동차 부사장 등과 관계자, 시민 등 150여명이 참석한다.
카 셰어링은 한 대의 자동차를 시간 단위로 여러 사람이 나눠쓰는 제도다.
스마트폰 앱이나 회원카드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저렴한 비용으로 원하는 시간만큼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편의성이 크다.
도심 주차난, 온실가스 감축, 대기 질 개선 등의 효과도 만만치 않다.
이번 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카 셰어링 대상 자동차가 가솔린이나 LPG가 아닌 수소와 전기차라는 점이다.
수소차 카 셰어링은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도 처음 시도되는 새로운 모델이다. 전기차 카 셰어링은 2012년 사용된 바 있다.
지난해부터 울산에서 시범운행 중인 수소차 택시 정도가 눈에 띌 뿐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카 셰어링은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주관하며 벤처기업 제이카가 운영을 맡는다.
![[연합뉴스 자료사진]](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03/AKR20170303129500054_02_i.jpg)
23억5천여만원을 투입해 전기차 27대, 수소차 5대를 확보했으며 이달 중 수소차 10대를 추가 도입한다.
사업 효과가 크면 전남지역으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수소충전 인프라는 광산구 오선동 광주그린카진흥원과 동곡동 해양도시가스 CNG 충전소에 이미 마련했거나 6월 중 완공할 예정이다. 하루 최대 50대를 충전할 수 있다.
투싼ix 기준, 한번 충전에 400㎞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
광주시는 지난해 9월 정부로부터 수소차 카셰어링 시범지역으로 지정된 뒤 현대자동차그룹과 협약을 하고 사업을 추진했다.
일반 렌터카나 카 셰어링보다 저렴한 이용 비용,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낯선 인식 해소, 친환경 자동차 선도도시 선점과 이미지 제고 등이 기대된다.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친환경 자동차 부품 클러스터 조성사업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한다.
가솔린이나 디젤에 익숙한 소비자들의 수소 차량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해소와 여전히 부족한 충전 인프라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발대식과 함께 광주는 친환경 자동차 선도도시로 지정된다.
광주시와 정부는 수소·전기차 보급 확산을 통해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연관 및 실증 산업 육성 등에 나설 계획이다.
2025년까지 전기자동차 58만대, 수소자동차 10만대를 보급하고 충전 인프라도 확충한다.
시내버스, 택시, 렌터카 등 내연기관 자동차를 전력기반 친환경 자동차로 바꾸는 노력도 아끼지 않기로 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5일 "카 셰어링 시범사업에 수소 및 전기차와 같은 녹색자동차가 접목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친환경 자동차 선도도시로 나아가는 데 큰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nicepe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7/03/05 06:00 송고
수소·전기차 충전용 '미니 휴게소' 나온다

(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가스차와 수소차, 전기차를 위한 충전시설과 편의시설을 갖춘 소형 복합휴게소 200개소가 2025년까지 전국 도로변에 구축된다.
수소·전기차의 보급이 활성화될 때까지 이들 차량의 고속도로 통행료는 50% 감면된다.
국토교통부는 27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 대행이 주재한 제11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친환경차 충전인프라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복합휴게소는 고속도로의 경우 기존 휴게소에 충전시설을 추가하고, 나머지 고속화도로나 국도에는 민간자본을 유치하는 방식으로 건립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신축되는 복합휴게소는 크기가 기존 휴게소의 5분의 1, 10분의 1 수준인 소형 휴게소"라고 설명했다.
민간 업자는 30년간 휴게소에 딸린 편의시설을 운영하면서 투자금을 회수한다.
복합휴게소는 액화석유가스(LPG)에서 수소를 분리하고, 수소를 산소와 화학반응시켜 전기도 생산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가스차와 수소·전기차에 동시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국토부는 도로법 등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하고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상반기 중 마련해 내년부터 사업자 선정 및 구축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고속도로에는 압축천연가스(CNG) 버스 충전소도 2020년까지 6곳 이상 설치된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수소·전기차의 소비 촉진을 위해 올해 9월부터 고속도로 통행료를 50% 감면해줄 방침이다.
다만 통행료 감면은 수소·전기차의 보급이 활성화되는 시점까지 한시 적용키로 했다.
정부는 그 시점을 2020년까지로 보고 있으나 유동적이다.
국토부는 2020년까지 통행료 감면에 대해 국고지원이 수반되지 않을 경우 도로공사의 수입 감소액은 120억원 정도일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연말까지는 도로 점용 허가대상에 수소차 충전시설을 포함시키고 전기차 충전시설 점용료도 50% 감면할 계획이다.
운송사업용 수소버스 등록기준을 기존 16인승에서 13인승 이상으로 완화하고, 수소차에 대해 렌터카 사업을 위한 자동차 등록기준 대수를 적용할 때 전기차와 마찬가지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영업용 전기차량에 한해 차령을 2년 일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을 영업용 수소차량까지 확대해줄 예정이다.
누구나 쉽게 수소·전기차 충전소를 찾을 수 있도록 충전기의 심볼 표준을 마련하고, 주차장 내 충전소 표시기준도 통일할 방침이다.
지난달 기준으로 우리나라에 설치된 친환경 차량 충전소는 수소차가 14곳, 전기차는 1천50곳이다.
현재 수소차는 126대, 전기차는 1만1천794대가 운행 중이다. 정부는 2020년까지 수소차는 1만대, 전기차는 25만대로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banan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7/02/27 16:22 송고